오시프 예르만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프 예르만스키는 러시아의 사회민주주의 운동가이자 경제학자이다. 아케르만에서 태어나 유대교 교육을 받고 오데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학생 운동 참여로 코카서스로 추방되었다. 스위스에서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러시아로 돌아와 멘셰비키에 가담하여 활동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멘셰비키 신문 편집장을 맡았으며, 10월 혁명 이후에는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학문 활동을 했다. 여러 차례 체포되었으며 1941년 굴라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멘셰비키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멘셰비키 -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은 1918년에 수립되어 1921년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멸망한, 멘셰비키가 주도한 코카서스 지역의 독립 국가였다. - 대숙청 희생자 - 니콜라이 부하린
니콜라이 부하린은 러시아 혁명 당시 볼셰비키 이론가이자 지도자로, 신경제정책을 지지했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 후 대숙청으로 처형되었으며,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 대숙청 희생자 - 미하일 투하쳅스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는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붉은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스탈린과의 갈등 끝에 처형당한 후 복권된, 종심타격이론 개발 등 붉은 군대 현대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오시프 예르만스키 | |
---|---|
기본 정보 | |
출생명 | 이오시프 아르카디예비치 코간 |
러시아어 | Иосиф Аркадьевич Коган |
다른 이름 | 오시프 아르카디예비치 예르만스키 |
로마자 표기 | Osip Arkad'yevich Yermanskiy |
출생 | 1868년 6월 16일 |
사망 | 1941년 11월 29일 (73세) |
사망 장소 | 카잔 |
경력 | |
직업 | 경제학자 통계학자 |
분야 | 정치경제학, 노동 보호 |
학력 | |
모스크바 대학교 | 졸업 |
활동 | |
소속 정당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멘토 | 알렉산드르 포투칼로프 |
2. 초기 생애 및 교육 ( ~ 1891년)
예르만스키는 드네스트르강 어귀에 위치한 도시 아케르만에서 장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전통적인 유대교 교육을 받은 후, 오데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1888년, 학생 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추방되어 코카서스로 보내졌다. 1891년에는 스위스로 건너가 파벨 악셀로드, 베라 자술리치,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로자 룩셈부르크와 같은 사회주의자들과 교류하기 시작했다.[1]
1891년 스위스로 건너가 파벨 악셀로드, 베라 자술리치,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로자 룩셈부르크 등 저명한 사회민주주의 운동가들과 교류하며 관계를 맺었다.[1] 1892년부터는 취리히에서 학생 신분으로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895년 러시아로 돌아온 후, 남부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으며, 당 기관지인 《남부 노동자》 (Южный рабочийru)의 편집자를 맡았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그는 3월부터 5월까지 멘셰비키 조직의 공식 신문인 《Рабочая газета|라보차야 가제타ru》(노동자 신문)의 편집장을 맡았다. 6월에는 제1차 소비에트 회의 대표였으며, 제1차 전 러시아 중앙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9월부터 12월까지는 《이스크라》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1918년 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멘셰비키 잡지 《노동자 인터내셔널》의 편집을 맡았다. 1919년에는 사회주의 아카데미의 정회원이 되었고, 이듬해인 1920년에는 모소베트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23일에 체포되었다가 9월에 석방되는 일을 겪었다.
그는 1920년 8월 23일에 처음으로 체포되었으나, 같은 해 9월에 석방되었다. 1921년 4월, 그는 RSDLP를 탈퇴하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경영 및 노동의 과학적 조직 연구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는 1921년 7월 30일에 다시 체포되었고, 이후 1931년에도 체포되는 등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1937년에 다시 체포되었으며, 마지막으로 1940년에 체포된 후 1941년 굴라크에서 사망했다.
3. 사회민주주의 운동 참여 (1891년 ~ 1917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1903년) 이후 당이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될 때, 그는 멘셰비키에 가담했다. 이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4차 대회(1906년)에 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1907년부터는 문학 활동에 더 집중하여 여러 신문의 편집자로 일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국제주의적 반전 입장을 견지하는 "주도 그룹"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 그는 반전 내용을 담은 팜플렛을 저술하고 멘셰비키 관련 언론에 적극적으로 기고하며 전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4. 1917년 혁명 이후
1917년 10월 혁명 이후에는 통일 사회주의 정부 수립을 지지했다. RCP(b) 제7차 임시 대회에서는 대회 회의 의장단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그는 율리우스 마르토프와는 달리, 멘셰비키가 볼셰비키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하기 위해 전 러시아 중앙 집행위원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1918년 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멘셰비키 잡지 《노동자 인터내셔널》을 편집했다. 1919년에는 사회주의 아카데미의 정회원이 되었고, 1920년에는 모소베트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20년 8월 23일에 체포되었다가 9월에 석방되었다.
1921년 4월, 그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을 탈퇴하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경영 및 노동의 과학적 조직 연구에 전념했다. 하지만 정치적 탄압은 계속되어 1921년 7월 30일에 다시 체포되었고, 1931년에도 체포되었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는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 기술 대학교의 경제 및 경영학과를 관리하기도 했으나, 1937년에 또다시 체포되었다. 마지막으로 1940년에 체포되어 1941년 굴라크에서 생을 마감했다.
5. 모스크바 이주 및 학문 활동 (1918년 ~ 1941년)
1921년 4월, 그는 RSDLP를 탈퇴하고 학문 연구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경영 및 노동의 과학적 조직 분야 연구에 전념했다. 하지만 정치적 탄압은 계속되어 1921년 7월 30일에 다시 체포되었고, 1931년에도 체포되었다.
이후 1933년부터 1936년까지는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 기술 대학교의 경제 및 경영학과를 관리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1937년과 1940년에 연이어 체포되었고, 결국 1941년 굴라크에서 생을 마감했다.
6. 체포, 숙청 및 사망
7. 주요 저작
참조
[1]
웹사이트
Osip Ermanskiy biography, pictures of Osip Ermanskiy, photos
http://celebiography[...]
2017-12-08
[2]
웹사이트
Списки жертв политических репрессий
http://lists.memo.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